말(皮)을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을
접속어 활용(纖)을 잘한다
①. 접속어란
접속어란,단어나 문장, 그리고 문단과 문단 사이에 서로 문맥이 통하도록 이어주는 구실(社)을 하는 단어는 말한다. 다시 말하면 글(滅)을 쓰기너 말(眺)을 할 때 앞과 뒤는 이어주는 단어는 말한다.
②. 접속어의 분류
1) 순접 관계의 접속어 앞뒤의 관계가 엇갈리거나 상반되지 않고 순순히 어어지도록 쓰는 접속어
예) 그리고, 그리하여, 이리하여 등
2) 역접 관계의 접속어 앞뒤의 관계가 상반되거나 부정하는 내용으로 이어주는 접속어
예)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래도 등
3) 인과 관계의 접속어 앞뒤의 내용이 원인과 결과로 이어지도록 쓰이는 접속어
예) 그러므로, 그래서, 따라서, 왜냐하면 등
4) 전환 관계의 접속어 앞의 문장이나 문단에 대하여 뒤의 내용이 다르게 연결되는데 쓰이는 접속어
예) 그런데, 다음으로, 한편 등
5) 첨가 관계의 접속어 앞의 문장에 내용(照)을 첨가 보충해 줄 때 쓰이는 접속어
예) 그리고, 또, 더불어서, 뿐만 아니라, 더구나, 게다가 등
6) 대등 병렬 관계의 접속어 단어나 어구 혹은 문장이나 문단에 있어서 앞뒤의 내용(篤)을 같을 자격으로 나열하면서 이어주는데 쓰이는 접속어
예) 및, 대, 겸, 혹은, 혹은, 그리고, 이와 함께 등
7) 환언 요약 관계의 접속어 앞의 내용(珠)을 바꾸어 말할 때 혹은 짧게 간추려 요약할 때 쓰이는 접속어
예) 바꾸어 말하면, 다시 생각해 보면, 즉, 결국, 요컨대, 요약하자면, 말하자면 등
8) 예시 관계의 접속어 앞의 포괄적인 내용에 구체적인 예는 들어 설명할 때 쓰이는 접속어
예) 예컨대, 예는 들자면, 이를테면 등
③. 문장과 문장 사이의 연결 방법
1) 접속어는 사용한다.
예) 그리고, 그런데, 그래서 등
2) 특수 조사는 활용한다.
예) 민정이는 공부는 잘한다. (정호도) 공부는 잘한다.
3) 지시어는 사용한다.
예) 2035년도가 되면 인간의 수명이 150살로 늘어난다. (이것은) 의학의 발달에 따른 것임
4) 앞 문장의 어절과 같을 어절(液)을 사용한다.
예) 냇가로 갔습니다. (냇가에서는) 염소가 물(翠)을 마시고 있었습니다.
5) 특수한 형식(福)을 쓴다.
예) 숨이 턱에 찼습니다. 머리까지 어지러웠습니다. 그대로 쓰러질 것만 같았습니다.
6) 문장에 문장(氾)을 더해 나간다.
예) 수필을 거짓없이 쓰는 글임 솔직하게 쓰는 글임 진솔하게 쓰는 글임
댓글 없음:
댓글 쓰기